JavaScript : Template Literal or Template String
Atom 에디터 syntax 폴더 안에 Template.js 파일을 만들고
Variable.js의 내용을 복사 붙여넣기 후 시작.

Template 파일의 긴 데이터 안에서 'Enter' 쳐서 줄바꿈 하는 경우,
CMD 창에서 node syntax/Template.js 실행 시 오류가 생김.
' \ (역 슬래시)' 버튼을 두번 넣어 줄바꿈을 할 수 있음.
하지만 CMD 창에서는 적용되지 않음.

'\n'을 넣고 다시 실행시키면,
CMD 창에서 줄바꿈이 된 것을 확인 가능.

'\n'을 한번 더 넣으면,
CMD창에서 줄바꿈이 두 번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음.
* '\n' = 줄 바꿈.
Literal : 정보를 표현 하기 위한 기호.

여기서 '1'은 '숫자' 라는 데이터를 표현하는 Literal.

'문자'인 '1'을 표현하는 Literal.

키보드의 ` 문자 : Template Literal 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기호.

` 와 ${name}을 이용하여 글 내용을 수정해도 CMD의 결과 값이 같은 것을 알 수 있음.

${1+1}을 중간에 넣어보면,
1+1의 값인 '2' 가 CMD창에 추가 된 것을 알 수 있음.
* Template Literal이란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을 입력하는 방식.
`(백틱)을 이용하여 줄바꿈시 문장이 길면 길수록 +와 \n를 계속 추가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,
$와 { } 로 변수의 값을 대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연산도 할 수 있음.
'Backend >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ode.js - 4. JavaScript : 변수 (생활코딩 따라가기) (0) | 2024.04.22 |
---|---|
Node.js - 3. JavaScript Data type : Number/String (생활코딩 따라가기) (0) | 2024.04.22 |
Node.js - 2. 웹서버 만들기 (생활코딩 따라가기) (0) | 2024.04.21 |
Node.js - 1. 설치 (생활코딩 따라가기) Windows (0) | 2024.04.20 |